Jenkins2 개발환경 구축하기 - 쿠버네티스 예전에 했던 서버 구축글에서 docker swam을 쿠버네티스로 바꾸던 걸 정리했던 글입니다. 1. 젠킨스에서 도커 빌드 가능하게 설정하기 기존에 Docker Compose로 구성해서 서버에서 바로 docker 이미지를 만들었다면 이번에는 Jenkins에서 빌드를 해서 이미지를 생성하고 해당 이미지를 넥서스에 올린 후 각각의 서버에서 해당 이미지를 사용방식으로 만들려고 합니다. 가장 먼저 젠킨스에서 도커를 빌드하고 빌드된 이미지를 사내 dockerhub(Nexus)에 올릴 수 있게 해주어야 합니다. 도커로 구동된 젠킨스에서 도커를 실행하려면 docker.sock 파일을 볼륨해줘야 합니다. sudo docker run -d -p 8080:8080 -v /home/jenkins:/var/jenkins_hom.. 2022. 11. 11. 개발환경 도입기4편 - CI 서버 설정을 해보아요~ 안녕하세요 개발팀 김형진입니다. 이번에는 최근에 설정한 CI서버에 관해서 이야기할려고 합니다. Jenkins를 사용해 CI서버를 구축하였고 아직 개선해야 할 점이 많지만 현재까지 구축한 방법과 앞으로의 개선사항을 애기해 볼까 합니다. CI 서버의 필요성 일단 이전 방식 같은 경우 개발자PC에서 바로 빌드하고 배포를 하는 방식이였습니다. 수동으로 하는 방식이였고 프로파일에 따른 빌드도 잘 관리가 안되고 있었습니다. 이제 CI 서버가 생김으로써 이제 개발자 PC에서 소스를 빌드해서 배포하지 않고 SCM 서버에 있는 master 브런치에 해당하는 소스를 CI 서버에서 빌드해서 테스트 서버에 배포합니다. 이전 방식은 이번에 새로 MSA방식으로 구축되는 프로젝트에 맞지 않았습니다. MSA 방식으로 개발되면서 이전.. 2020. 4. 20. 이전 1 다음